서울협의회(서울센터)

서울협의회(서울센터) 활동

글보기
제목2024.8.13-14. 평화·통일 분야 지역연구소 공동세미나 계획안2024-08-05 11:05:39
카테고리제주센터
작성자by
추가사업 – 평화·통일 분야 지역연구소 공동세미나


1. 목적

 남북 관계의 경색 국면과 대결 구도는 평화와 통일에 대한 희망을 약화시키기도 하지만동시에 이를 타개하기 위한 노력과 새로운 시도를 요구하기도 함이러한 관점에서 제주평화연구원을 중심으로 지역 연구소의 학자와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평화와 통일 문제를 지역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함.

 극도로 악화된 정부 차원의 남북한 관계를 개선할 수 있는 지방외교 방안이 있는지 모색하고자 함.

○ 국가 차원이 아닌 지역 공동체에서 통일과 평화를 어떻게 인식하고 이해하고 있으며이를 실천하기 위해 지자체들이 어떠한 노력을 기울이는지 살펴봄으로써 지역 차원의 평화담론을 제시해보고자 함.

 지역에 속한 각 기관들의 지역 시민 대상 교육과 활동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통일과 평화에 관한 교육을 통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고자 함.


2. 사업 내용

○ 사업명 평화·통일 분야 지역연구소 공동세미나

남북 관계 개선과 한반도 안정을 위한 지역 중심의 새로운 평화담론 모색

○ 일시 : 2024년 8월 13() ~ 14()

○ 장소 제주 라마다프라자호텔 8층 아라홀

○ 대상 평화·통일 분야 지역연구소 학자와 전문가 등 50여명

○ 주최 제주평화연구원

○ 주관 제주대학교 통일교육센터/평화연구소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동아대학교 통일교육센터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제주평화연구원

○ 일정

날짜시간세부 일정
1일차
(8.13)
12:00~14:30등록 
14:00~14:30개회식
개회사강영훈 (제주평화연구원)
환영사김진호 (제주대학교 평화연구소통일교육센터)
축사김희찬 (제주도청 관광교류국장)
14:30~16:00
(90)
1세션한반도 정세와 통일 정책
사회황기식 (동아대학교 통일교육선도대학사업단)
발표홍석훈 (창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북한의 대외전략 변화와 우리의 대북·통일정책 방향
발표심세현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
  “한반도 및 동북아 안보정세와 윤석열 정부의 대북정책
지정토론김아람 (제주평화연구원)
지정토론조용복 (동아대학교 통일교육선도대학사업단)
16:00~16:15휴식
16:15~18:00
(105)
2세션지역 차원의 평화담론북한 인권과 적극적 평화를 중심으로
사회김범수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발표정원희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
  “김정은 시대의 식량정책 평가가용량(FAD)와 획득성(FED)을 중심으로
발표임석준 (동아대학교 통일교육선도대학사업단)
  “부산의 통일문화컨텐츠를 통한 남북한관계 개선 방안
발표박동준 (제주평화연구원)
  “글로벌라이제이션과 글로컬라이제이션을 통한 글로벌 여성 어젠다의 확산
토론최은영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토론장슬아 (제주대학교 평화연구소)
19:45~20:30만찬
2일차
(8.14)
10:00~12:00
(120)

3세션국민적 공감대 형성을 위한 통일·평화 활동
사회송영훈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
발표공민석 (제주대학교 통일교육센터)
  “국제정치학자의 시각으로 본 지역 통일교육 혁신 방향
발표김택빈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희망과 회의 사이: Z세대의 통일 회의론 분석
발표정성문 (동아대학교 통일교육선도대학사업단)
  “지역문화와 연계한 청년통일교육동아대 통일교육선도대학사업을 중심으로
토론문상석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

3. 추진 방법

 제주평화연구원을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통일교육센터/평화연구소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동아대학교 통일교육센터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의 학자와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평화와 통일 문제를 지역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세미나를 진행함.

○ 총 3개의 세션으로 나누어 발표와 토론으로 진행함.


4. 기대 효과

○ 정부 차원의 남북한 관계를 개선할 수 있는 지방외교 방안이 있는지 모색하는 계기 마련

○ 지역 공동체에서 통일과 평화를 어떻게 인식하고 이해하고 있으며이를 실천하기 위해 지자체들이 어떠한 노력을 기울이는지 지역 차원의 평화담론을 통해 상호교류 및 협력의 기회 마련

○ 지역에 속한 각 기관들의 지역 시민 대상 교육과 활동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통일과 평화에 관한 교육을 통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는 계기 마련